유니언포씨
Loading...

수산 뉴스

수산업 전반에 관련한 동향 및 최근 자료들을 기사화하여 제공 있으며
저작권이 있는 관계로 무단 복사/활용은 민/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.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(주)유니언포씨 작성일 2025-06-25
조회수 37

본문

극동조업 해역 선두, 아조프-흑해조업 해역 및 국제 수역에서 큰 폭 증가
71e897994d208c495db0ba4519518c48_1750818977_2246.jpg

2025 64째주 기준으로 러시아 어선단이 2025년에 총 230만 톤 이상의 수산물을 어획했다고 연방 수산청 산업 모니터링 시스템 데이터가 밝혔다.
현재까지 전체 러시아 어업 종사자들의 총 어획량은 2,318,400톤으로 집계되었다.

극동조업 해역은 러시아 어업의 핵심 동력으로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1,762,000톤을 기여했습니다. 이 지역의 주요 어종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명태: 1,244,000

  • 대구: 7 1,400 (2024년 대비 4,700톤 증가)

  • 태평양 청어: 261,800

북부조업 해역에서는 176,600톤을 어획했으며, 대구 (105,600)과 해덕 (29,900)이 주요 어종이었으며 해덕 어획량은 2024년 대비 4,800톤 증가하여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다.

서부조업 해역, 총 어획량은 47,400톤으로 어획량은 아래와 같다.

  • 스프랫(Sprat): 28,800

  • 발트 청어: 15,100

아조프-흑해조업 해역은 22,800톤을 기록하며 2024년 대비 47.3% 증가하는 상당한 성장을 보였다.

  • 멸치: 12,600 (2024년 대비 3,300톤 증가)

  • 스프랫(Sprat): 3,870 (2024년 대비 3,300톤 증가)

볼가-카스피조업 해역의 어획량은 47,700톤으로 2024년 대비 2.9% 증가하였으며 주요 어종으로는 스프랫(Sprat) 21,800톤으로 1,500톤 증가했으며, 일반 어종 9,400.

71e897994d208c495db0ba4519518c48_1750824070_1636.jpg
 

러시아 국내 수역 외에도, 러시아 어선단은 외국 배타적 경제수역, 통상 구역 및 세계 해양의 공해상에서도 활동을 늘렸으며 250800톤의 수산물이 어획되어 2024년 대비 15.3%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.

참조로, 2025 5월중 한국으로 수입된 러시아산 수산물은 12,460톤으로, 2024 5(14,759)보다 16% 감소하였으며 올해 누적 수입량은 106,095톤으로 작년 같은 기간(117,839) 대비 10% 줄었으며, 이는 전체 국가 수입량의 27%를 차지하고 있다.

문서번호 : UNION-2025-0625-2





추천0
* 수산업 전반에 관련한 동향 및 최근 자료들을 기사화하고 있으며 상기 내용의 무단 복제/활용은 민/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.

수산물장터 / 수산물뉴스 / 수산물무역 / 국가별수산통계 / 어종별수산통계 최근 자료